러시아혁명
피의 일요일
전제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있던 러시아에서는 19세기 후반에 산업화가진행 되면서 노동자 계급이 성장하였으며, 지식인 사이에는 사회주의 사상이 급속히 확산됐다 . 러ㆍ일 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가 분명해진 1905년에 수도 샹트페테부르크에서는 '피의 일요일'사건이 일어나 나라전체가 혁명의 기운이 감돌고 있었다.
이에 정부는 민중의 요구를 받아들여 언론과 집회의 자유를 허용하고, 의회(두마)를 설치하는 한편 토지개혁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제 정치의 한계점 때문에 개혁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러시아 군대가 잇달아 패하고 식량난까지 겹쳐 국내적으로 불만이 커져 갔다.
?2월 혁명
1917년 2월 수도 샹트페테부르크에서 노동자의 파업과 폭동이 계속되었다. 여기에 진압군까지 가세하면서 혁명세력과 노동자 세력에 의해 완전 점령되었다. 결국 전선에 나가있던 니콜라이 2세는 퇴위를 선언, 입헌 민주당이 된 임시정부가 수립 자유주의적 개혁을 실시하였다
● 레닌의 등장
레닌(1870ㅡ1924)은 그의 형이 러시아 황제 암살 음모에 관련되어 처형을 당한 일을계기로 혁명의 뜻을 두었다. 그는 유럽에서 망명생활을 하며 마르크스이론을 러시아 현실에 맞추어 레닌주의라는 독특한 사회주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1903년 볼셰비키의 지도자가 된 레닌은 1917년 2월혁명 후 러시아로 돌아와 7월에 임시정부에 대항하여 반란을 꾀하였으나 실패, 다시 해외로 망명 후 그해 10월에 귀국하여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혁명(10월혁명) 을 일으켜 성공하였다.
⚘알아두기 ㅡ볼세비키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조직된 사회 민주 노동당의 주도권을 가진 '다수파'를 말함
혁명이 끝난후 러시아 공산당으로 개명하였다 .
?10월 혁명
2월 혁명 후 정권을 잡은 임시 정부가 제1차 세계대전에 연이어 참전하는 한편, 사회적 혼란도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자 국민의 불안은 심해져갔다. 이에 레닌을 중심으로 하는 볼셰비키가 '평화와 빵과 토지'를 구호로 내세우며 혁명을 일으켜 임시 정부를 타도하고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하였다.(10월혁명,1917)
⚘알아두기ㅡ소비에트
러시아어로 '대표자 회의'라는 뜻이며 러시아혁명 당시부터 의회를 대신하는 권력 기구가 되었다.
?소련의 수립
10월 혁명으로 권력을 장악한 레닌은 독일과 굴욕적인 강성 조약을 맺어 전쟁을 중단하였으며 공장.은행.철도등 모든 산업과 토지를 국유화 했다. 그러나 그의 뜻과는 반대로 사회는 혼란해지고 계속되는 내란으로 경제가 어려워지자 레닌은 소규모의 기업 활동을 인정하고 농민이 현물세를 바치고 남은 생산물을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게한 신경제정책(NEP)을 실시하였다.(1921)
이어서 수도를 모스크바로 옮기고 러시아를 비롯한15개의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구성된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소련)이 탄생하게 된다 (1922) 레닌의 뒤를 이은
'스탈린'은 중공업을 목표로 하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반대파를 가혹하게 탄압하고 피의 숙청하는등 독재 정치를 구축하였다.
?사회주의 확산
러시아에서 10월 혁명을 일으켜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하는데 성공한 레닌은 그 여세를 몰아 세계 각국 공산당의 결성과 사회주의 확산을 지원하기 위하여 모스크바에서 세계 각 국의 사회당과 공산당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코민테른을 결성하였다.(1919)
⚘알아두기ㅡ코민테른
코민테른은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독일에서는 바이에른주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노동자와 병사들이 폭동을 일으켜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 하기도 하였으나 정부군의 의해 진압되었다. 이러한 봉기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지에서도 일어났으나 모두 실패로 끝을 맺었다
한편,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여러나라 에서는 공산당이 결성되어 의회에도 진출하였다.
아시아에서도 열강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는 각국의 민족 운동과 결부되어 공산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리하여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여러나라에서 공산당이 결성 되었으며 , 우리나라의 민족 운동도 이에 영향을 받게되었다
'그룹명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하산의 역사 (0) | 2020.06.06 |
---|---|
장을 지지다 뜻 (0) | 2020.06.06 |
메디치 가문을 활용한 고도의 전략가 (0) | 2020.06.05 |
신석기 혁명 농경 (0) | 2020.06.05 |
등산중에 알아야 할 응급상황별 대처법 (0) | 2020.06.04 |